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재형저축 vs ISA, 뭐가 더 유리할까? 청년 재테크 핵심 비교 정리
    경제/기본정보 2025. 3. 18. 17:56

    "요즘 돈 굴리는 방법, 진짜 너무 다양하죠."

    예·적금만 넣던 시대는 지나고,
    이제는 대학생도, 사회 초년생도, 심지어 20대 중반도 절세 상품에 관심을 가지는 시대입니다.

    그런데 막상 가입하려고 보면
    “ISA? 재형저축? 이름도 생소하고 뭐가 좋은지 감도 안 잡히는 분들 많죠?”

    오늘은 재형저축과 ISA 통장,
    이 두 가지의 차이점을 깔끔하게 비교해드리겠습니다.

    세액공제 통장 비교

    두 상품, 어떤 개념일까?

     

    재형저축 (재산형성 저축)

    정부가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서 만든 상품으로서,
    연소득 5,500만 원 이하 등의 요건이 있어서 청년 우대형 성격이 강한 상품입니다.
    이자에 대한 소득세가 비과세되고, 세액공제도 받을 수 있는 구조입니다.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예금, 펀드, RP 등을 한 계좌에서 통합 운용할 수 있는
    투자형 절세 통장입니다.
     
    일반형/서민형/청년형으로 나뉘며, 수익에 대해 비과세 또는 분리과세 혜택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본인이 운용하는 구성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재형저축은 안전형 저축 중심,
    ISA는 운용형 투자 중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어떤 혜택이 있는 걸까?

    재형 저축은 은행이나 저축기관에 따라 금리가 다르고,

    청년 우대 조건 충족 시 우대금리 0.2~0.5% 추가 가능합니다.

    ISA는 자산 구성에 따라 수익률 편차가 크지만, 성공적인 운영 시 더 높은 절세효과도 가능합니다.
    재형저축 vs ISA

    어떤 사람이 어떤 상품에 더 적합할까?

    • 소득이 일정하고 저축 위주로 절세를 하고 싶은 분
      재형저축 추천 – 세액공제 혜택 극대화 가능

    • 투자수익을 목표로 자산운용에 관심 있는 분
      → ISA 추천 – ETF 등으로 자산 배분 가능, 비과세 혜택
    • 청년층이거나 초보 투자자
      → ISA + 재형저축 병행도 가능
      → 한쪽은 저축, 다른 한쪽은 투자 전략으로 활용 가능

    그렇다면, 이제 중요한 결론입니다.
    재형저축과 ISA, 어떤 통장이 나에게 더 맞는 걸까요?

    먼저,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이 중요하고,
    매달 일정한 금액을 저축하면서 세금 혜택도 받고 싶은 분이라면
    재형저축이 더 적합한 선택입니다.


    최근 시중은행 기준 연 4.0~4.5% 정도의 금리를 제공하고,
    청년 우대조건을 만족할 경우 우대금리 혜택까지 더해지면서
    실질 수익률이 5% 이상으로 체감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연 최대 240,000원까지 세액공제 혜택도 함께 주어지죠.

    반면, 단순한 저축보다 투자를 통한 자산 운용과 수익 확대에 관심이 있다면
    ISA 계좌가 훨씬 더 유연한 선택지입니다.


    예금형 ISA는 보통 연 3.0~3.7% 수준의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고,
    펀드형이나 ETF 기반으로 운용한다면 평균 4~6%, 잘 운용하면 7~8% 수준 수익률도 가능합니다.
    게다가 수익금에 대해 비과세 또는 9.9%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ISA만의 장점입니다.

    요약하자면,
    나는 확실한 이자 수익 + 세액공제 중심"이면 재형저축,
    나는 수익률을 키우고 절세도 하고 싶다"면 ISA가 맞는 선택입니다.

    그리고 요즘엔 둘 다 병행하는 전략도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월 고정 수입은 재형저축으로 안전하게 모으고,
    여유 자금은 ISA로 운용하며 투자까지 챙기는 방식이죠.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