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투자 방법 2탄 ETF 그리고 ETN 현물과 선물 가격추종 투자방법경제/금투자 2022. 7. 7. 17:13
저번 시간에 이어서 이번에는 간접적인 금 투자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표적인 간접 금 투자 방법으로는 ETF와 ETN 그리고 금펀드가 있습니다.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다양한 간접투자 방법에 대해서 이번 시간에는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ETF 금 투자 방법
금 ETF 투자방법에 앞서 ETF(Exchange Traded Fund)가 무엇인지 알아야 하겠습니다. 주식시장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 ETF는 개별 주식을 고르지 않고 투자할 수 있는 펀드 투자의 장점과 언제든지 시장에서 원하는 가격에 매매할 수 있는 주식투자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는 상품을 말합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발췌)
금 간접투자 ETF 주식투자와 같이 증권계좌를 통하여 개설하여 금과 관련된 EFT 상품을 매수/매도하는 투자 방법으로서 국내시장은 물론 해외시장에도 금 투자를 할 수가 있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짚고 넘어갈 부분이 있는데, 금 ETF 관련하여 국내는 선물이고 해외의 경우는 대부분이 현물(실물) 이라는 점입니다. 선물과 현물에는 가격의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실제 금 현물은 금 시세에 따라 가격이 변동되지만 선물은 시세에 따른 금액에 수요/공급 그리고 시장 상황 등을 반영하여 가격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그밖에도 금 투자는 환헤지, 환노출 등 달러의 영향을 받는 등 여러 가지 요소가 존재하는데 그 부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금투자 ETF는 앞서 언급하였듯이 선물투자 방법이며, KODEX와 TIGER 2가지 ETF 상품이 존재합니다. 둘 다 S&P GSCI GOLD TOTAL RETURN 추종지수를 채택하고 있어서 투자 시 큰 지수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수수료가 KODEX 골드선물은 연 0.68%, TIGER 골드선물은 연 0.39%로 차이가 있습니다. 수수료의 차이 때문에 당연히 TIGER 골드선물을 해야 하냐 하고 생각을 할 수도 있으시겠지만, 이 두 선물의 상장일이 약 9년 정도 KODEX 골드선물이 앞서기 때문에 시가총액 자체가 엄청난 차이가 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안정적인 투자를 원한다면 당연히 KODEX 골드선물에 적은 수수료가 메리트가 있다면 TIGER 골드선물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두 상품 모두 15.4%의 배당소득세가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달러와 금은 안전자산으로서 서로 분리하려고 해도 할 수가 없는 관계가 있는 투자수단이라고 할 수가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금 투자 ETF 또한 환율에 대해 민감할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하겠습니다. 그렇지만 국내 금 투자 ETF의 경우는 환헤지 상품으로써 환율에 따라 큰 수익성이 발생하지는 않으나 환율 관계없이 안정적인 투자를 할 수가 있는 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금 투자 방법 해외 금투자 ETF는 대표적으로 미국 주식 시장을 통해서 진행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상품으로 GLD와 IAU가 있습니다. 국내 ETF 상품과 달리 현물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환율에 대한 영향을 받는 환노출 투자상품입니다. 환율에 따라 변동하는 상품답게 안정적이지는 않지만 환율에 따라서 큰 수익성도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두 상품 모두 LBMA Gold price 추종지수를 채택하고 있어서 그래프의 흐름이 비슷합니다. 국내 ETF 상품과 같이 GLD와 IAU 두 상품의 수수료가 차이가 발생하는데 GLD의 경우는 0.39%, IAU는 0.25%이며 주당 단가 차이가 약 10배 정도 나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투자 방식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해외 ETF의 경우 22%의 양도소득세가 발생하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상품 수수료 소득세 환율 운영사 국내 ETF(선물) KODEX 0.68 % 배당소득세
15.4%환헤지 삼성 자산운용 TIGER 0.39 % 미래에셋 자산운용 해외 ETF(현물) GLD 0.39% 양도소득세
22%환노출 SPDR IAU 0.25% iShares 금 투자 방법 ETN & ETF 2) ETN 금 투자 방법
ETN(Exchange Traded Note)은 상장지수 증권으로서 채권, 원자재, 통화, 주식, 선물 등에 투자하는 상품으로써 주식시장에서 손쉽게 매수, 매도 할 수 있으나 ETF와 달리 증권회사에서 미리 약정한 기초지수 수익률을 지급한다는 신용으로 발행되는 상품입니다. 그렇다 보니 ETF가 운용수익이 투자자에게 돌아가는 상품이라면 ETN은 기초지수의 수익율에 연동되어 수익 지급이 된다는 점이 차이가 있습니다.
ETN 투자 상품 종류로는 삼성 레버리지 금 선물, 신한 레버리지 금선물 그리고 신한 금 선물이 있습니다. 여기서 레버리지 펀드는 금 시세의 두 배로 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으로 예를 들어서 금값이 1% 상승시 2%의 수익을 발생하는 상품이나, 만약 금값이 1% 하락할 경우 2%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그 밖에도 시세 하락에 투자하는 상품도 있는데 곱 버스 상품으로써 금값 1% 하락에 수익 2%가 발생하는 상품입니다. 삼성증권과 신한증권의 대표적은 금 ETN 상품은 아래와 같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상품 상품개요 환율 제비용 삼성 금 선물 ETN COMEX(뉴욕상업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금 선물을 매수하여 양의 1배 일간수익률을 추종 환헤지 연 0.65% 삼성 레버리지
금 선물 ETNCOMEX(뉴욕상업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금 선물을 매수하여 양의 2배 일간수익률을 추종 환헤지 연 1.05% 삼성 인버스
금 선물 ETNCOMEX(뉴욕상업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금 선물을 매도하여 음의 1배 일간수익률을 추종 환헤지 연 0.65% 삼성 인버스 2X
금 선물 ETNCOMEX(뉴욕상품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금 선물을 매도하여 음의 2배 일간수익률을 추종 환헤지 연 1.05% 삼성 KRX 금현물 ETN KRX 금현물 지수이며, KRX 금현물 1kg 시장의 가격수익률에서 예탁원 보관비용을 차감한 순수익률을 기준 해당 없음 연 0.60% 신한 금 선물 ETN COMEX에 상장되어 있는 Gold 선물의 일일 수익률을 1 배수로 추적 환헤지 연 0.75% 신한 레버리지
금 선물 ETNCOMEX에 상장되어 있는 금 선물의 일일 수익률을 2 배수로 추적 노헤지 연 1.05% 신한 인버스
금 선물 ETNCOMEX에 상장되어 있는 Gold 선물의 일일 수익률을 -1 배수로 추적 환헤지 연 0.75% 신한 인버스 2X
금 선물 ETNCOMEX에 상장되어 있는 금 선물의 일일 수익률을 -2 배수로 추적 노헤지 연 1.05% 금 간접투자 방법 중 하나인 ETF와 ETN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상기 내용 외에도 다양한 EFT 및 ETN 투자 종목과 방법이 있으니 상세한 내용은 각 증권사나 자산운용사 사이트를 참조하시면 좋으실 것 같습니다.
금투자 방법 1탄 실물투자 및 금통장 종류
다양한 파이프라인 만들기 방법 중 금 투자도 추천을 앞서 언급하였었습니다. 금 투자는 안전자산이라는 점에서 세계적으로 경제적인 이슈가 있거나 주식 시장이 곤두박질치는 순간에 상승을
money-excavation.tistory.com
반응형'경제 > 금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 투자 방법 5탄 금관련 어플 편리한 투자방법과 관리 (1) 2022.07.12 금 투자 방법 4탄 KRX 금현물, 금시장 투자하기 (0) 2022.07.11 금 투자 방법 3탄 분산투자 금펀드 안전자산 금테크 (0) 2022.07.09 금투자 방법 1탄 실물투자 및 금통장 종류 (0) 2022.07.06 금투자 방법과 종류 안전자산을 통한 분산투자 (0) 2022.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