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MA vs MMF, 지금 예치금은 어디에 둬야 할까?금융 기본 정보 2025. 3. 27. 17:02
“CMA랑 MMF 중에 뭐가 더 나아요?”
요즘처럼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는 시기에는
잠자는 돈의 이자만 잘 챙겨도 월급 외 수익이 쌓입니다.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CMA가 좋다”, “MMF가 더 안전하다”는
모호한 정보에 휘둘리기 쉽죠.
이번 글에서는- CMA와 MMF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 현재 기준 수익률은 어떤 수준인지
실제로 비교해서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현금 관리 시작은, 예치금의 전략적 이동부터입니다.
1. CMA 란 무엇인가?
CMA의 구조와 원리
CMA(현금관리계좌, Cash Management Account)는
증권사에서 운영하는 단기 금융 상품으로,
예금처럼 입출금이 가능하면서 남은 돈에 대해 자동으로 운용 수익을 제공하는 계좌입니다.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증권사 계좌 기반
- 남은 예치금을 단기 RP(환매조건부채권)나 MMF 등에 자동 투자
- 이자는 매일 계산되어 다음 영업일에 반영
쉽게 말해서,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이자 지급형 통장 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CMA의 장점과 단점
CMA는 편리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모든 상황에 유리한 상품은 아닙니다.아래 장단점을 꼼꼼히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CMA 장단점 비교 Tip : 단기 자금 예치엔 CMA, 장기 운용이나 안정성 중시 시엔 비교가 필요합니다.주요 증권사 CMA 수익률 비교 (2024년 03월 기준)
각 증권사 공식 홈페이지 기준 (2024.03.25 기준) 수익률은 고정이 아니라 변동형이기 때문에,
가입 시점의 조건 (이벤트, 수수료, 자동이체 설정 등)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2. MMF란 무엇인가?
MMF의 기본 개념
MMF(Money Market Fund)는
국공채, 기업어음(CP) 등 초단기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형 상품입니다.
주로 남는 자금을 짧게 운용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금융 수단으로,
예금처럼 느껴지지만 실제론 ‘투자상품’에 가깝습니다.MMF의 장점과 단점
MMF 장점과 단점 MMF 수익률 예시 (2024.03 기준)
각 증권사 홈페이지 기준 MMF의 경우, 수익률은 매일 바뀌며
가입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MMF는 예금보다 수익률이 높고, CMA보다 투자성격이 강한
중간지대 상품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단기 예치자금 중에서 안정성과 수익을 동시에 고려하는 분들께
적합한 상품입니다.
반응형CMA vs MMF, 지금은 어디에 둬야 할까?
지금 기준 어떤 선택이 유리할까?
기본적으로 우대금리 없는 상황에서
기본 예금 금리가 3% 이하로 하락한 현재,
대부분의 CMA/RP형은 2.7~2.9% 수준이고
MMF는 3.0%를 상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CMA는 자유로운 입출금과 자동이체 등의 기능이 있어
현금 흐름 중심 투자자에게는 여전히 유리합니다.
즉, 유동성과 편의성이 중요하면 CMA
수익률과 안정성 중심이면 MMF가 더 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선택 기준 요약표
CMA / MMF 요약표 투자자 유형별 추천
투자자 유형별 추천 상품 리스트 예치금도 전략이 필요합니다.
단순히 넣어두는 통장이 아니라
흐름을 통제하고 이자를 만드는 자산 관리의 출발점이 CMA와 MMF입니다.
고금리 시대라고 해도,
예치금의 수익률이 모두 높은 것은 아닙니다.
현재 시중 정기예금 금리는 대부분 연 3.0% 초반 수준이고,
CMA는 약 2.7~2.9%, MMF는 3.0~3.2% 수준의 수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핵심은 내돈이 쉬고 있지 않게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수익률뿐 아니라 입출금 편의성, 유동성, 안정성까지 고려해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금융 상품을 선택하는 게 중요합니다.지금 당장 내 예치금이 어디에 머물러 있는지 점검해보세요.
흘러가는 돈을 가볍게 넘기지 말고, 흐름을 통제하는 습관을 시작할 타이밍입니다.블로그 내 참고자료
대학생 재테크 방법 알아보기 (알바, 적금, 예금 투자 방법 아님)
재테크에 대한 관심은 시간이 갈수록 젊은 층에서도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시작하는 것 같습니다. 대학생으로서 기본적인 예적금이나 알바 없이 학업에 충실하고 스펙을 쌓으면서도 돈을 벌 수
money-excavation.tistory.com
CMA 통장과 MMDA 통장 비교와 장단점 분석 (파킹통장)
파킹 통장으로 자주 사용하는 증권사의 CMA통장과 은행의 MMDA 통장에 대하여 비교 및 장단점을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정적인 것을 추구한다면 MMDA, 좀 더 높은 수익률을 원한다면 CMA 통장
money-excavation.tistory.com
반응형'금융 기본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달 10만 원으로 만드는 ETF 포트폴리오 설계법 (2) 2025.03.30 월급 받자마자 자동 분산! 부자들의 통장 루틴 따라잡기 (1) 2025.03.28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수익률에 어떤 영향을 줄까? (5) 2025.03.26 수익성과 안정성 모두 잡는 ETF 추천 리스트 (2) 2025.03.25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 채권과 배당주, 지금 담아야 할까? (4) 2025.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