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MA 통장과 MMDA 통장 비교와 장단점 분석 (파킹통장)경제/기본정보 2022. 8. 23. 16:02
파킹 통장으로 자주 사용하는 증권사의 CMA통장과 은행의 MMDA 통장에 대하여 비교 및 장단점을 분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정적인 것을 추구한다면 MMDA, 좀 더 높은 수익률을 원한다면 CMA 통장을 추천하나 실제로 단기 투자 상품이라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CMA와 MMDA 통장 비교분석 그리고 장단점 확인 CMA 통장
CMA 통장은 증권사를 통하여 개설할 수 있는 입출금통장으로 맡긴 금액을 국채나 공채, 기업의 어음 그리고 채권 등에 투자를 하여 그 수익을 다시 이자로 돌려주는 실적배당 금융 상품으로 볼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CMA ( Cash Management Account) 통장은 보통 매일매일 이자를 주는 통장으로 널리 알려져 있어 생활비, 비상금 그리고 투자용 통장으로 많이 사용고 있습니다.
CMA 통장의 장단점
CMA 통장의 장점으로는
- 수시로 입출금을 할 수 있고, 매일매일 이자가 발생
- 일반 입출금 통장에 비해 높은 금리
- 체크카드나 신용카드등과 통장 연계 가능하며, 증권사 발행 카드를 사용 시 우대금리 혜택
- 공과금, 인터넷 뱅킹 등 업무가 가능하며, 공모주 청약도 가능
CMA 통장의 단점으로는
- 원금손실 위험
- 예금자 보호가 불가
- 시중은행 통장에 비해 사용할 수 있는 업무가 제한
- 일반은행 취급 상품이 아나리 이체 및 출금 시 수수료가 발생
CMA 통장 종류
1) 종금형 (발행어음형)
- 종합금융회사 발행어음 운용
- 예금자보호 가능 (1인당 5천만 원까지)
- 확정금리 / 월 복리 이자
- 증권사가 일반 기업에 투자하는 방식
2) RP 형
- 증권회사 / 국공채, 은행채, A급 회사채 운영으로 안정적
- 예금자보호 불가 ( 증권사가 파산할 경우 원금손실 )
- 확정금리 / 금리 하락 시 MMF에 비해 수익률이 낮음
- 안정성이 높아 대부분 CMA 통장은 RP형 임.
3) MMF(Money Market Fund) 형
- 증권회사 / 국공채, 은행채, 회사채(단기상품) 운용
- 예금자보호 불가 ( 증권사가 파산할 경우 원금 손실 )
- 변동금리 / 금리가 상승 시 RP형에 비해 수익률이 낮음
- 하루 단위로 이자가 들어옴
4) MMW(Money Market Wrap) 형
- 증권회사 / 우량 금융기관의 단기채권, 어음 운용
- 예금자보호 불가 ( 증권사가 파산할 경우 원금 손실 )
- 변동금리 / 원리금(원금 + 이자)을 재투자하여 복리 효과
- 하루 단위로 이자가 들어옴
CMA 통장 금리
CMA 통장 금리의 경우 네이버에서 "CMA 통장"이라고 검색을 하면 바로 확인을 할 수가 있습니다.
CMA 통장 금리 (출처: 네이버) MMDA 통장
MMDA 통장은 앞서 언급한 CMA 통장과 같지만 발행처가 증권사가 아닌 은행이라는 점에서 다릅니다. 은행에서 발행한 파킹 통장으로서 1인 5천만 원까지 예금자보호가 가능하다는 안정적인 장점이 있습니다.
MMDA (Money Market Deposit Account), 즉 시장금리부 수시입출식 예금 통장으로서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면서도 일반 수시입출금 통장보다 소폭 높은 금리로 매일매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통장입니다.
MMDA 통장의 장단점
MMDA 통장의 장점은,
- 수시 입출금 가능
- 1인 최대 5천 만원 예금자 보호
- 각 종 공과금 자동 이체 및 결제 보통예금과 같이 사용 가능
- 보통예금보다 높은 확정금리
MMDA 통장의 단점은,
- 최소 금액 (예시 500만 원) 예치 필요
- 상품에 따라 500만 원 미안은 이자가 없을 수도 있음
- CMA보다 이자가 낮음
MMDA 통장 금리
MMDA 통장의 금리는 예치 금액에 따라 상이합니다. 각 은행의 금리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1) 전국 은행연합회 사이트 접속
2) 전체 메뉴 보기
3)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4) 예금상품 금리 비교
5) 개인 MMDA 선택 후 검색
상기 단계를 거치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타 상품 검색 시에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MMDA 통장 금리(출처: 전국은행연합회) 개인적으로 비상금이나 생활비 등을 단기로 보관하고자 할 때는 안정적인 MMDA 통장에 소액을 단기로 보관하지만 투자적인 성향이 더 강하시다면 CMA 통장을 사용하시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사용 목적과 투자 기간에 따라 알맞은 상품을 고려하여 비교 분석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래 적금 및 예금 상품 관련 정보 공유드리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고금리 예금 정리 및 적금과 차이 제대로 알기
최근 계속적으로 금리가 인상됨에 따라서 시중 은행이나 금융권에서 나오는 고금리 상품들이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저번 시간 고금리 적금에 이어서 고금리 예금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고 적
money-excavation.tistory.com
사회초년생, 대학생을 위한 고금리 적금 추천 (시드머니 만들기)
경제적 자유를 위한 파이프라인 만들기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계획하면서 위해서 무자본으로 할 수도 있겠지만 역시나 조금이라도 자본금이 있다면 조금 더 빠르게 자산을 불려 나갈 수가
money-excavation.tistory.com
반응형'경제 > 기본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연금 정의와 혜택 그리고 종류 (1) 2022.08.29 금융권 정의와 차이비교 (증권사, 카드사도 2금융권이라고?) (1) 2022.08.27 부산지역화폐 동백전 체크카드 발급방법 및 혜택 변경 소식 (0) 2022.08.17 사회초년생 월급관리 방법과 시드머니 만들기 (0) 2022.08.12 재테크 관련 정보와 부자들이 지키는 습관 (2) 2022.08.10